
금융 계좌 보호
방법을 알아보고,
은행별 지급정지
절차를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.
SKT 유심 해킹이나
보이스피싱이 걱정되시죠?
이 글에서 계좌를
안전하게 지키는 법을 배워봐요. 😊
계좌 보호는
돈이 든 금고에
자물쇠를 채우는 것과 같아요!
금융 계좌 보호란?
금융 계좌 보호는
유심 해킹,
보이스피싱 같은
금융 사기로부터
계좌를 지키는 조치예요.
계좌 지급정지나
비대면 계좌개설 차단으로
피해를 예방할 수 있죠.
2025년 4월,
SKT 유심 해킹으로
2,500만 명의 정보가
위험해졌어요.
1단계: 계좌 보호
필요성 알기
왜 계좌 보호가
필요한지 알아볼게요.
유심 해킹으로 계좌가
명의도용이나 사기로
악용될 수 있어요.
지급정지와 차단 서비스는
이를 막는 가장 빠른 방법이에요.
2단계: 일괄지급정지
신청하기
모든 계좌를 한 번에
지급정지하려면 이렇게 하세요.
어카운트인포(www.payinfo.or.kr)
앱/웹에서
‘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’를
선택하세요.
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
계좌 선택, 사유(예: 유심 해킹)를
입력하면 즉시 처리돼요.
또는 은행 콜센터나
영업점, 경찰(112)로 신청 가능.
다만, 이는 실제 유심이 해킹되어
심각한 피해가 예상되거나
보이스피싱 등
급박한 범죄피해가
예상되는 경우
하셔야 해요.
아래는
요약한 내용이예요!
1. 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 서비스 (전 금융권 공통)
온라인/모바일 신청
- 어카운트인포(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) 홈페이지(payinfo.or.kr) 또는 앱 접속
- 좌측 메뉴에서 ‘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’ 선택
-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
- 지급정지 원하는 계좌(전체/선택) 체크
- 신청 사유 입력(예: 보이스피싱 의심, 개인정보 유출 등)
- 신청 완료 → 즉시 지급정지 처리
- 해제는 해당 은행 영업점 직접 방문 필요
오프라인(전화/방문) 신청
- 해당 은행 콜센터(24시간) 또는 영업점에 전화/방문
- “본인계좌 지급정지” 또는 “일괄 지급정지” 요청
- 신분증 확인 및 본인확인 절차 후 즉시 처리
- 경찰청 112로 신고해도 지급정지 연계 가능
너무 불안해하는 것도 금물!
이 2단계는
급박한 경우를 대비한,
방법을 알려드리는 것에
불과합니다.
유심 해킹으로 인한
실질적인 조치는
3단계 부터 입니다!!
3단계: 비대면 계좌개설
차단 신청
비대면 계좌개설을
막아 명의도용을 예방하세요.
은행 앱
(예: 신한SOL → 고객센터 →
비대면 계좌개설 차단)에서 신청.
신청 즉시
전국 3,600개
금융회사에서
계좌 개설이 차단돼요.
영업점 방문 시
신분증 지참 후 요청.
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
(전 금융권 공통)
신청 절차
- 은행 모바일앱/인터넷뱅킹 또는 영업점 방문
- 메뉴에서 ‘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’ 또는 ‘계좌개설 차단 서비스’ 선택
- 본인 인증 및 신청 완료
- 신청 즉시 한국신용정보원에 차단 정보 등록, 전국 3,600여 금융회사에서 비대면 신규 계좌 개설이 전면 차단
- 해제 원할 시, 은행 영업점 방문 후 신청 가능
- 신한은행 예시: 신한SOL 앱 → 전체메뉴 → 고객센터 → '비대면 계좌개설 차단' → 신청
추가로
개인 및 개인사업자의
신규 대출 등을 막을 수 있는
여신성 금융거래
안심차단 서비스도 있으니
불안하신 분들은
아래 절차를 참고하세요.
단, 해지시에는
영업점에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.
여신성 금융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절차
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는 신용대출, 신용카드 발급, 카드론 등 본인 명의로 이뤄지는 신규 여신성 금융거래를 사전에 차단하는 제도입니다.
신청하면 은행, 보험, 증권, 카드사 등 모든 금융회사에서 신규 여신거래가 불가합니다.
신청 방법
① 전국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(은행, 저축은행, 농·수협, 새마을금고, 신협, 산림조합, 우체국 등)
-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 지참
- 창구에서 “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” 요청
- 본인 확인 및 신청서 작성
- 즉시 차단 적용 (전 금융권 연동)
- 법정대리인 신청 가능 (미성년자, 의사결정 곤란자의 경우)
② 온라인 신청 (은행별/신용정보원/신용회복위원회)
- KB국민은행:
- KB스타뱅킹 앱 → 전체메뉴 → 고객센터 → ‘여신거래 안심차단’
- 또는 인터넷뱅킹 로그인 → ‘여신거래 안심차단’ 메뉴
- 신청 가능 시간: 월~토 오전 7시~오후 10시
- 신용회복위원회 신용정보조회사이트(Credit4U)
- Credit4U 홈페이지 접속
- 상단 메뉴에서 ‘여신거래 안심차단’ 클릭
-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 본인인증
- 차단 사유 선택 및 신청 확인
- 차단 설정 완료(실시간 반영)
- 기타 은행/저축은행/카드사:
- 영업점 방문이 원칙, 일부는 인터넷뱅킹/앱 지원(각 은행별 확인)
해제 및 변경
- 해제는 반드시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 필요 (신분증 지참, 본인 확인)
- 차단 해제 후 대출 등 신규 여신거래 가능
4단계: 은행별
계좌 보호 서비스
은행별 대표 보호 서비스 예시
국민은행(KB)
- 지급정지: KB스타뱅킹 앱/인터넷뱅킹 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- 콜센터: 1588-9999 또는 1644-9999
-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또는 ‘계좌 이용정지’ 요청
- 피해구제: 경찰 신고(112) 후 ‘사건사고사실확인원’ 발급받아 영업점 제출
신한은행
- 비대면 계좌개설 차단: 신한SOL 앱 → 전체메뉴 → 고객센터 → ‘비대면 계좌개설 차단’
- 지급정지: 신한SOL 앱 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- 콜센터: 1577-8000
-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우리은행
- 우리WON뱅킹 앱 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- 콜센터: 1588-5000
-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농협은행
- NH스마트뱅킹 앱 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- 콜센터: 1661-3000
-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하나은행
- 하나원큐 앱 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- 콜센터: 1599-1111
-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5단계: 추가 보호 및
피해 대응
더 안전하게 계좌를
지키고 피해에 대응하세요.
1. 명의도용 방지:
KISA(www.msafer.or.kr)에서 가입.
2. 이상거래 알림:
은행 앱에서 SMS 알림 활성화.
3. 피해 시:
경찰(112), 은행 콜센터 연락,
사건사고사실확인원(경찰서)으로
피해구제 신청.
명의도용방지서비스(Msafer) 신청 절차
명의도용방지서비스는 내 명의로 휴대폰이 몰래 개통되는 것을 사전에 막아주는 무료 공공서비스입니다.
신청 방법
① Msafer(엠세이퍼) 홈페이지 신청
- Msafer 홈페이지 접속
- ‘공동인증서’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
- ‘가입제한 서비스’ 메뉴 클릭
- ‘이동통신사 가입 제한하기’ 화면에서 ‘전체 개통제한’ 선택 → ‘설정 저장하기’ 클릭
- 신청 완료 후 차단 상태 즉시 적용, 상태 확인 가능
② PASS 앱 신청 (통신3사 공통)
- PASS 앱 실행
- 하단 메뉴 ‘전체’ → ‘명의도용방지서비스’ 클릭
- 약관 동의, 본인 인증(휴대폰 인증/공동인증서)
- ‘전체 개통제한’ 설정 후 저장
- 신청 즉시 적용, 상태 확인 가능
③ 카카오뱅크 앱 신청
- 카카오뱅크 앱 실행
- 하단 ‘전체’ → ‘인증/보안’ → ‘명의도용방지서비스’ 클릭
- 약관 동의, 본인 인증
- ‘전체 개통제한’ 설정 후 저장
④ 통신사 오프라인 매장 방문
- SKT, KT, LGU+ 직영점/플라자 방문
-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“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제한 신청” 요청
- 창구 직원 안내에 따라 즉시 처리
⑤ 통신사 고객센터(전화)
- **114(무료)**로 전화 → 상담원 연결 → 명의도용방지서비스 신청 요청
- 신분증 인증 절차 진행 후 신청
부가 서비스
- 이메일 안내서비스: Msafer 홈페이지에서 신청 시, 내 명의로 휴대폰 개통 시 안내 메일 수신 설정 가능
해제 방법
- 온라인(홈페이지, 앱) 또는 통신사 매장 방문
- 본인 인증 후 해제 신청 가능
- 각 통신사별 해제는 해당 통신사 매장 방문 필요
이용 시간
- 서비스 이용시간: 09:00 ~ 22:00 (홈페이지/앱 기준)
유의사항
지급정지 해제는 영업점 방문 필요.
비대면 계좌개설 차단도
해제 시 방문 필수.
유심 해킹 의심 시
즉시 은행과 경찰(112)에 연락하세요.
마무리
기타 자세한 보호 조치는
은행 홈페이지
(국민: www.kbstar.com,
신한: www.shinhan.com,
우리: www.wooribank.com,
농협: www.nonghyup.com,
하나: www.kebhana.com)에서
자세히 확인하세요.
'요즘 뉴스와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심 무료 교체 신청 방법: SKT, KT, LGU+ 통신사별 가이드 (2025 최신) (0) | 2025.04.29 |
---|---|
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: SKT, KT, LGU+ 통신사별 안내 (2025 최신) (0) | 2025.04.29 |
SKT 유심 해킹 대응법: USIM 복제 피해 막는 5단계 가이드 (0) | 2025.04.29 |
2025 국가건강검진 변화와 확대: 정신건강 검진주기 확대, C형간염, 골다공증 검사 변경사항 (0) | 2025.04.09 |
[2025] 미얀마 강진 뉴스와 불안증: 재난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심리 건강 관리법 (6) | 2025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