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요즘 뉴스와 이슈

금융 계좌 보호: 은행별 지급정지 등 가이드(2025년)

by duckmany 2025. 4. 29.
반응형

 


금융 계좌 보호

방법을 알아보고,

 

은행별 지급정지
절차를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.

 

SKT 유심 해킹이나
보이스피싱이 걱정되시죠?

 

이 글에서 계좌를
안전하게 지키는 법을 배워봐요. 😊

 

계좌 보호는
돈이 든 금고에
자물쇠를 채우는 것과 같아요!

 

금융 계좌 보호란?

 

금융 계좌 보호는
유심 해킹,

보이스피싱 같은


금융 사기로부터

계좌를 지키는 조치예요.

 

계좌 지급정지나
비대면 계좌개설 차단으로
피해를 예방할 수 있죠.

 

2025년 4월,

SKT 유심 해킹으로
2,500만 명의 정보가

위험해졌어요.

 

 

1단계: 계좌 보호
필요성 알기

 

왜 계좌 보호가
필요한지 알아볼게요.

 

유심 해킹으로 계좌가
명의도용이나 사기로
악용될 수 있어요.

 

지급정지와 차단 서비스는
이를 막는 가장 빠른 방법이에요.

 

 

2단계: 일괄지급정지
신청하기

 

모든 계좌를 한 번에
지급정지하려면 이렇게 하세요.

 

어카운트인포(www.payinfo.or.kr)

앱/웹에서
‘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’를

선택하세요.

 

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
계좌 선택, 사유(예: 유심 해킹)를
입력하면 즉시 처리돼요.

 

또는 은행 콜센터나
영업점, 경찰(112)로 신청 가능.

 

다만, 이는 실제 유심이 해킹되어

심각한 피해가 예상되거나

 

보이스피싱 등

급박한 범죄피해가

예상되는 경우

하셔야 해요.

 

아래는

요약한 내용이예요!

반응형

1. 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 서비스 (전 금융권 공통)

온라인/모바일 신청

  • 어카운트인포(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) 홈페이지(payinfo.or.kr) 또는  접속
  • 좌측 메뉴에서 ‘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’ 선택
  •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
  • 지급정지 원하는 계좌(전체/선택) 체크
  • 신청 사유 입력(예: 보이스피싱 의심, 개인정보 유출 등)
  • 신청 완료 → 즉시 지급정지 처리
  • 해제는 해당 은행 영업점 직접 방문 필요

오프라인(전화/방문) 신청

  • 해당 은행 콜센터(24시간) 또는 영업점에 전화/방문
    • “본인계좌 지급정지” 또는 “일괄 지급정지” 요청
  • 신분증 확인  본인확인 절차 후 즉시 처리
  • 경찰청 112로 신고해도 지급정지 연계 가능

 


 

  

너무 불안해하는 것도 금물!

 

이 2단계는

급박한 경우를 대비한,

방법을 알려드리는 것에

불과합니다.

 

유심 해킹으로 인한

실질적인 조치는

3단계 부터 입니다!!

 

 

 

3단계: 비대면 계좌개설
차단 신청

 

비대면 계좌개설을
막아 명의도용을 예방하세요.

 

은행 앱

(예: 신한SOL → 고객센터 →
비대면 계좌개설 차단)에서 신청.

 

신청 즉시

전국 3,600개
금융회사에서

계좌 개설이 차단돼요.

 

영업점 방문 시

신분증 지참 후 요청.

 

 


 

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

 

 (전 금융권 공통) 

신청 절차

  • 은행 모바일앱/인터넷뱅킹 또는 영업점 방문
  • 메뉴에서 ‘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’ 또는 ‘계좌개설 차단 서비스’ 선택
  • 본인 인증  신청 완료
  • 신청 즉시 한국신용정보원에 차단 정보 등록, 전국 3,600여 금융회사에서 비대면 신규 계좌 개설이 전면 차단
  • 해제 원할 시, 은행 영업점 방문 후 신청 가능
  • 신한은행 예시: 신한SOL 앱 → 전체메뉴 → 고객센터 → '비대면 계좌개설 차단' → 신청

 

추가로

 

개인 및 개인사업자의

신규 대출 등을 막을 수 있는

여신성 금융거래

안심차단 서비스도 있으니

 

불안하신 분들은

아래 절차를 참고하세요.

 

단, 해지시에는

영업점에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.

 

 

여신성 금융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절차

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는 신용대출, 신용카드 발급, 카드론 등 본인 명의로 이뤄지는 신규 여신성 금융거래를 사전에 차단하는 제도입니다.
신청하면 은행, 보험, 증권, 카드사 등 모든 금융회사에서 신규 여신거래가 불가합니다.

신청 방법

① 전국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(은행, 저축은행, 농·수협, 새마을금고, 신협, 산림조합, 우체국 등)

  •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 지참
  • 창구에서 “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” 요청
  • 본인 확인 및 신청서 작성
  • 즉시 차단 적용 (전 금융권 연동)
  • 법정대리인 신청 가능 (미성년자, 의사결정 곤란자의 경우)

② 온라인 신청 (은행별/신용정보원/신용회복위원회)

  • KB국민은행:
    • KB스타뱅킹 앱 → 전체메뉴 → 고객센터 → ‘여신거래 안심차단’
    • 또는 인터넷뱅킹 로그인 → ‘여신거래 안심차단’ 메뉴
    • 신청 가능 시간: 월~토 오전 7시~오후 10시
  • 신용회복위원회 신용정보조회사이트(Credit4U)
    • Credit4U 홈페이지 접속
    • 상단 메뉴에서 ‘여신거래 안심차단’ 클릭
    •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 본인인증
    • 차단 사유 선택 및 신청 확인
    • 차단 설정 완료(실시간 반영)
  • 기타 은행/저축은행/카드사:
    • 영업점 방문이 원칙, 일부는 인터넷뱅킹/앱 지원(각 은행별 확인)

해제 및 변경

  • 해제는 반드시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 필요 (신분증 지참, 본인 확인)
  • 차단 해제 후 대출 등 신규 여신거래 가능

 

 

4단계: 은행별
계좌 보호 서비스 

 

 

은행별 대표 보호 서비스 예시

 

국민은행(KB)

  • 지급정지: KB스타뱅킹 앱/인터넷뱅킹 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  • 콜센터: 1588-9999 또는 1644-9999
  •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또는 ‘계좌 이용정지’ 요청
  • 피해구제: 경찰 신고(112) 후 ‘사건사고사실확인원’ 발급받아 영업점 제출

신한은행

  • 비대면 계좌개설 차단: 신한SOL 앱 → 전체메뉴 → 고객센터 → ‘비대면 계좌개설 차단’
  • 지급정지: 신한SOL 앱 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  • 콜센터: 1577-8000
  •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
우리은행

  • 우리WON뱅킹 앱 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  • 콜센터: 1588-5000
  •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
농협은행

  • NH스마트뱅킹 앱 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  • 콜센터: 1661-3000
  •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
하나은행

  • 하나원큐 앱 → 전체메뉴 → 사고신고/분실신고 → ‘지급정지’
  • 콜센터: 1599-1111
  • 영업점: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‘지급정지’ 요청

 

 

5단계: 추가 보호 및
피해 대응

 

더 안전하게 계좌를
지키고 피해에 대응하세요.

 

1. 명의도용 방지:

KISA(www.msafer.or.kr)에서 가입.

 

2. 이상거래 알림:

은행 앱에서 SMS 알림 활성화.

 

3. 피해 시:

경찰(112), 은행 콜센터 연락,

사건사고사실확인원(경찰서)으로

피해구제 신청.

 


 

 

명의도용방지서비스(Msafer) 신청 절차

명의도용방지서비스는 내 명의로 휴대폰이 몰래 개통되는 것을 사전에 막아주는 무료 공공서비스입니다.

신청 방법

① Msafer(엠세이퍼) 홈페이지 신청

  • Msafer 홈페이지 접속
  • ‘공동인증서’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
  • ‘가입제한 서비스’ 메뉴 클릭
  • ‘이동통신사 가입 제한하기’ 화면에서 ‘전체 개통제한’ 선택 → ‘설정 저장하기’ 클릭
  • 신청 완료 후 차단 상태 즉시 적용, 상태 확인 가능

② PASS 앱 신청 (통신3사 공통)

  • PASS 앱 실행
    • 하단 메뉴 ‘전체’ → ‘명의도용방지서비스’ 클릭
    • 약관 동의, 본인 인증(휴대폰 인증/공동인증서)
    • ‘전체 개통제한’ 설정 후 저장
    • 신청 즉시 적용, 상태 확인 가능

③ 카카오뱅크 앱 신청

  • 카카오뱅크 앱 실행
    • 하단 ‘전체’ → ‘인증/보안’ → ‘명의도용방지서비스’ 클릭
    • 약관 동의, 본인 인증
    • ‘전체 개통제한’ 설정 후 저장

④ 통신사 오프라인 매장 방문

  • SKT, KT, LGU+ 직영점/플라자 방문
  • 신분증 지참, 창구에서 “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제한 신청” 요청
  • 창구 직원 안내에 따라 즉시 처리

⑤ 통신사 고객센터(전화)

  • **114(무료)**로 전화 → 상담원 연결 → 명의도용방지서비스 신청 요청
  • 신분증 인증 절차 진행 후 신청

부가 서비스

  • 이메일 안내서비스: Msafer 홈페이지에서 신청 시, 내 명의로 휴대폰 개통 시 안내 메일 수신 설정 가능

해제 방법

  • 온라인(홈페이지, 앱) 또는 통신사 매장 방문
    • 본인 인증 후 해제 신청 가능
    • 각 통신사별 해제는 해당 통신사 매장 방문 필요

이용 시간

  • 서비스 이용시간: 09:00 ~ 22:00 (홈페이지/앱 기준)

 

유의사항

지급정지 해제는 영업점 방문 필요.

 

비대면 계좌개설 차단도

해제 시 방문 필수.

 

유심 해킹 의심 시

즉시 은행과 경찰(112)에 연락하세요.

 

마무리

 

기타 자세한 보호 조치는

은행 홈페이지
(국민: www.kbstar.com,
신한: www.shinhan.com,
우리: www.wooribank.com,
농협: www.nonghyup.com,
하나: www.kebhana.com)에서
자세히 확인하세요.

 

 

반응형